브랜드 제품을 준비할 때 로고를 넣은 판촉물을 만들곤 합니다. 혹은 제품에 로고나 그림을 새겨야 할 때가 있습니다.
문제는 moq(최소수량)입니다. 500개, 1천개, 많게는 1만개 이상 구매해야 로고를 찍어준답니다. 그렇게까지는 필요하지 않으니 제작을 할지 말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이럴 때 dtf스티커를 사용해보세요. dtf를 처음 접했을 때 디자인을 크게 만들어서 컵이나 물병 등에 장식으로 붙여도 좋은데, 작게 만들어서 로고 프린팅 대신 붙여도 괜찮을 것 같았어요.
그래서 이번에 스탬프 창업에 쓰이는 도장 사출에 로고를 새기려고 합니다. 재고가 몇 개 없으니 시도하기 좋은 타이밍이네요.
제작 스펙
제품 | DTF(판박이)스티커 |
업체 | 애드피아몰 |
구성 | dtf스티커 1건 × 5장 (192x160mm) |
가격 | 장당 약 2,200원 (일반형 선택 시 1,400원) |
제작 기간 | 약 1주 |
제작 옵션 | uv고급형 (백색+컬러+바니쉬) |
기타사항 | – 사각 재단과 사각 라운드(도무송 형태) 재단 중 선택 가능 – 로고 새기는 용도로 사용한다면 일반형 추천 |
추천드려요
- 물건에 안 지워지는 이름 새기고 싶은 분
- 소규모로 파는 굿즈에 브랜드 로고 새기고 싶은 분
- 굴곡있고 큰 물건에 uv로 프린트하고 싶은데 여건이 안 되시는 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직접 붙여야 하는 수작업이 싫은 분
DTF이란?
DTF(direct to film)는 필름에 바로 인쇄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dtf스티커는 특수 스티커 용지에 uv로 인쇄해서 만든 스티커가 됩니다. 판박이처럼 미리 가지고 있다가 새기고 싶은 곳에 찰싹 붙일 수 있습니다. dtf스티커를 붙이고 하루 이틀 숙성(?)시키면 uv로 인쇄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UV인쇄의 장점은?
- 인쇄하자마자 바로 경화하기 때문에 잉크가 번지지 않고 작업 시간이 빠릅니다.
- 그래서 같은 자리에 인쇄를 반복해서 층을 쌓을 수 있습니다. (적층인쇄)
- 간단한 생활 방수가 가능합니다.
- 스크래치와 자외선에 강합니다.
제작 과정

인쇄를 위해 백색판, 컬러판, 바니쉬판 데이터를 준비해야 합니다.
저는 준비중인 문구 브랜드 로고를 사용했습니다. 어두운 색에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흰색 테두리를 씌우는 디자인으로 만들었습니다.
offset path로 화이트판을 0.1mm정도 작게 제작해보세요. 화이트판이 조금 밀려도 티가 잘 안 납니다.

별도의 판을 세 개 준비해서 한 파일에 넣고 정리해서 첨부합니다.
굿즈 탐색
제작품 언박싱


제작 접수한지 8일만에 받을 수 있었습니다. 골판지에 돌돌 말려서 도착했습니다.


잘라서 쓰려고 한 판에 여러 개를 나열해서 만들었습니다. 고급형으로 접수했더니 생각보다 제법 두툼하네요.
접수 전 컬러 프로파일을 잘 확인해볼 것


포장을 풀어서 처음 보았을 때 회색이 약간 녹빛을 띤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진을 확대해보니 컬러 입자들이 춤추고 있네요. 컬러판은 k70만 사용해서 제작했기 때문에 나머지 컬러 망점이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보통 rgb로 제작한 이미지를 cmyk로 변환하여 인쇄할 때 일어나는 문제입니다.
인쇄소니까 cmyk를 rgb로 바꾸진 않았을 거구요. 애드피아몰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파일을 열어봤더니 컬러 프로파일이 Japan Color 2001 Coated로 확인되었습니다. 제가 보낸 건 U.S. Web Coated (SWOP) v2이구요. 프로파일이 바뀌면서 색이 틀어진 것 같습니다.
파일의 컬러 프로파일이 강제로 바뀌는 과정에서 컬러값이 완전히 틀어지니 한번 더 체크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미처 체크하지 못했네요. ㅠㅠ 다음에는 japan color 2001로 보내서 확인해야겠습니다.
cmyk → rgb → cmyk로 강제로 변환해 인쇄하면 컬러값이 틀어지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크기에 맞게 오리기


적당한 크기로 잘 오려줍니다. 이 과정이 귀찮다면 둥근사각재단(도무송)으로 접수하시면 됩니다.
UV DTF스티커 붙이는 방법

1. 붙일 곳에 필름 째로 한번 올려서 위치를 잡아봅니다.

2. 위치를 확인했으면 이형지(필름 뒷면)을 떼어서 분리합니다.

3.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꾹 눌러서 붙여주세요.

4. 이형지를 떼어내면 uv부분만 붙이는 대상에 찰싹 달라붙게 됩니다.

5. 간단히 꾹꾹 눌러주면 끝! 지그 만들고 uv인쇄 하지 않아도 간단히 붙일 수 있어요.
로고 스티커를 도장에 붙인 모습

엑설런트마냥 도장을 모아두고 붙이는 작업을 반복했습니다. (개당 단가는 높아지겠지만) 적은 금액으로 브랜드를 각인할 수 있으니 활용할 부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다만 두께감이 제법 있어서 다음에는 일반형으로 주문하려고 합니다. 글씨도 미리 프린트해보고 조금 더 작게 만들어야겠어요.
마치며
사실상 응용 분야가 정말 다양합니다. 저처럼 제품에 로고 찍고 싶은데 수량 때문에 엄두도 못 내는 분들은 약간의 귀차니즘을 이기면 도전해 볼만합니다. 소규모로 수작업하시는 분들에게도 좋겠어요. 나중에 로고 말고도 그림을 넣어서 크게도 만들어보고 싶네요.
Pingback: 합판 인쇄는 왜 그때그때 다를까 -1. 이유가 뭐길래 – 소다한스푼